본문 바로가기
SMALL

파이썬기초4

코린이 파이썬 : 참과 거짓 불리언 객체 기본적 사용법 1. 조건문에 사용 2. 참 : True, 거짓 : False ( 첫글자는 꼭 대문자로) 3. 같다 : ==, 다르다 : != 4. 그리고 : and, 또는 : or 값 비교시에 = 는 뒤에 써야함 ex) >= , 2022. 5. 18.
코린이 파이썬 : 숫자 객체 오늘은 숫자 객체를 배워봅시다. 숫자 객체 1. 객체 생성 객체 생성 시 변수로 저장을 해줘야 이후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변수에 저장을 해줌 표기법 a=1 2. 연산자 ; +, -, *. /, % 표기법 숫자 연산자 숫자 예시) 1 + 2 3 - 2 4 * 10 5 / 1 20 % 3 % : 나머지를 알려주는 연산자 (퍼센트는 나머지를 구하는 바) 20/3 = 몫:6 나머지:2 즉, 출력 값 = 2 3. 할당 연산자 ; += a += 1는 a = a+1과 동일하며, 같은 의미로 a+=1로 표기함. 이유는 "a+1" 이 변수에 저장되지 않고 새로운 객체 이기 때문에 날아감. -> 쉽게 풀어 얘기하면 ' a에 1을 더해서 a라고 저장한다 '라고 말함. 표기법 a += 1 예시) a=2 a+=1 .. 2022. 5. 9.
코린이 파이썬 : 함수와 메소드 오늘은 함수와 메소드의 개념을 배워봅시다 함수 function 기능을 갖는 무언가 함수는 주로 갖다 쓰는게 만드는 것보다 비중이 높음 표기법 함수() 예시) _x_ print(변수) print 앞에 어떤걸 달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임 메소드 메소드 앞에 객체를 변수화 한 것 어떤 객체와 관련이 있다면 메소드 표기법 객체.메소드(변수) 예시) element.click(변수) 함수와 메소드의 차이 그냥 함수 :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함수로, 단순 계산 혹은 단순 변환을 하는데 쓰임 복잡한 객체를 만드는 함수 : 그냥함수와 메소드의 중간. 복잡한 객체란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숫자나 문자와 같은 객체가 아니라 크롬창이나 텔레그램봇같은것을 의미합니다. 이런것은 외부에서 누군가 만든 함수를 사용해 만들어야 하.. 2022. 5. 8.
코린이 파이썬 : 변수와 출력 오늘은 변수와 출력의 개념을 배워봅시다 변수 즉, 변하는 것 자동으로 변하는 것이 아닌 어떠한 이유로 변하게 하지 않을 수도 원하는 때에 변하게 할 수도 있는 것 어떠한 객체를 계속 쓰고자 할 때 담는 그릇 - 숫자 - 문자열 - 리스트 (숫자, 문자열 포함) - 크롬창 - 텔레그램 봇 표기법 변수 = 객체 예시) a = 1 a = "A" a = [1, "A"] a = webdriver.Chrome() a = telepot.Bot() 이때 반대로 작성 시 오류 발생! 출력 화면상으로 어떠한 것을 보여주는 것 변수가 계산을 할 때 변화할 텐데 과정이 복잡할 시 어떤 상태인지 확인이 필요할 때 실행하는 것 표기법 print(변수) 예시) a=1 print(a) 실행 단축키 Ctrl + Enter Shift .. 2022. 5. 7.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