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리스트에 대해 배워봅시다.
리스트
객체임.
객체들을 종류와 상관없이 다 담을 수 있음
비슷한 데이터를 다 저장할 때 유용하게 쓰임
1. 객체생성 a = [ ]
대괄호 안에 객체(=요소)를 쉼표로 끊어가며 작성
리스트라는 객체를 생성해서 변수로 저장해줘야 뒤에서도 사용 가능
표기법
a=[1,2,3]
2. 인덱싱 a[ ]
문자열에서는 N 번째 글자를 뽑는 것이지만 리스트에서는 N번째 요소를 뽑음
표기법
a[0]
=1
3. 리스트 길이 len( )
문자열에서는 len함수가 글자 수를 뽑는 것이라면 리스트에서는 요소의 총개수를 뽑음
표기법
len(a)
4. 요소 추가 a.append( )
a라는 리스트 객체 뒤에. 매소드 형태로 되어 있음.
표기법
a.append()
앞에 있는 객체(a)를 변화시키는 매소드임
예시)
a.append(4)
=[1,2,3,4]
a라는 요소에 4를 추가하라!
예시)
*문자와 숫자 변경하기!
a= "바나나"
b="사과"
c=귤
d=10
e=100
f=1000
print("나는 바나나를 1개 먹었다")
문자열을 바꾸는 것 -> 포맷팅 -> 바나나와 1을 {}로 바꿈
print("나는 {}를 {} 개 먹었다")
-> "뒤에. format() 작성 바꾸고자 하는 요소 순서대로 작성
print("나는 {}를 {} 개 먹었다". format(a, f))
=나는 바나나를 100개 먹었다
!! 이때 요소를 하나 더 추가하고 싶을 때 a, b, c, d, e, f 가 순서로 되어 있어 "수박"을 추가하려면 f 다음인 g를 써야 한다.
지금은 한 개라서 복잡해 보이지 않지만 나중에는 여러 요소를 추가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이 들쭉날쭉해 수정하기 힘들어진다.
a= "바나나"
b="사과"
c=귤
g ="수박"
h="딸기"
d=10
e=100
f=1000
i=10000
이럴 경우를 대비하여 같은 속성(묶고자 하는 요소)을 지닌 객체를 하나의 리스트로 결합한다.
그룹 이름 = [객체, 객체, 객체] 이렇게 요소를 만들 수 있음fruit=["바나나", "사과", "귤", "수박", "딸기"]num=[10,100,1000,10000]
=> 확인 작업 인덱싱fruit [0]=바나나fruit [-2]=수박fruit 내 객체 수len(fruit)=5
응용)
과일이 아닌 과자를 추가하고 싶을 때
fruit.append("과자")
fruit=["바나나", "사과", "귤", "수박", "딸기", "과자"]
응용)
fruit 요소 중 "바나나"의 "바"를 뽑고 싶을 때
인덱싱으로 요소=바나나를 먼저 뽑음, 문자열에서 첫 번째 글자를 뽑는다.
fruit [0][0]
첫 번째 대괄호는 바나나를 의미 두 번째 대괄호는 바나나의 바를 의미
=바